변호사가 직접 알려주는 진짜 법률 상식! 복잡한 법, 일상에서 쉽게 풀어드립니다.
May 7, 2025
최근 유명 외식업계 인사의 식품 광고 문구가 '식품광고법 위반' 논란에 휩싸이면서 광고 문구 하나에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사건을 계기로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이하 식품광고법)의 주요 내용과 위반 시 처벌, 실무상 주의사항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 식품광고 규제의 목적
식품광고법은 식품, 건강기능식품, 축산물, 농수산물 등의 광고가 허위·과장 표현으로 인해 소비자를 현혹하거나 경쟁을 왜곡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법률입니다. 주요 규제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질병 예방·치료 표현
🔸 의약품으로 오인될 수 있는 문구
🔸 검증되지 않은 효능·효과
🔸 객관적 근거 없는 소비자 후기·비교 광고 등
🔶 법 적용 대상
이 법은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 유통업체, SNS 인플루언서, 유튜버까지 포함됩니다. 즉, 누구든 식품을 소개하거나 홍보하는 경우에는 식품광고법의 적용 대상이 됩니다.
위반 유형별 처벌 정리
🔸 광고 중단 명령
🔸 제품 회수 또는 판매 금지
🔸 영업정지 처분
🔸 최대 5,000만원 이하
🔸 반복 위반 시 누적 부과 가능
🔸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
🔸 고의적·조직적 위반 시 실형 가능
서초변호사 등 실무 전문가들에 따르면, 특히 SNS나 유튜브를 통해 무심코 한 표현도 문제 소지가 클 수 있어 법률상담을 통해 사전 검토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주요 조항
🔸 제8조(허위·과대광고의 금지): 질병 예방·치료 표현 금지
🔸 제10조(표시·광고의 기준): 소비자 오인 방지 원칙
🔸 제14조(사전심의제도): 건강기능식품 광고는 심의 필요
🔸 제17조(벌칙): 법 위반 시 형사처벌 가능 규정 포함
🚫 건강기능식품 허위광고
‘피로 회복’, ‘면역력 증가’ 등 표현은 식약처의 사전 심의를 받은 건강기능식품에만 허용됩니다. 일반 식품에는 해당 표현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인플루언서·유튜버의 책임
단순 후기라도 뉘앙스에 따라 광고로 판단될 수 있으며, 표기 의무 위반 시 벌금형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비교광고·후기 조작
"타사보다 우수", "1위 제품" 등의 표현은 객관적 자료 없이 사용하면 법 위반이 됩니다. 특히 허위 리뷰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 제재 사례 기반 금지 문구
✔️ “○○병에 효과 있음”
✔️ “의사가 개발한 제품”
✔️ “다이어트에 무조건 성공”
✔️ “한 달이면 암도 낫는다”
✔️ “먹기만 하면 ○○ 개선”
이러한 표현은 대부분 소비자에게 의학적 기대감을 조장하거나 오인을 유발하기 때문에 식품광고법 위반으로 행정처분이나 형사처벌로 이어진 사례가 다수 있습니다.
광고 제작 전 자가 점검 리스트
✅ 문구에 질병 예방·치료 의미가 있는가?
✅ 의사, 전문가 추천이 사실인가?
✅ 광고 대상이 일반 식품인지 건강기능식품인지 구분했는가?
✅ 협찬, 광고 여부를 명확히 표기했는가?
✅ 타 제품과 비교 시 객관적 근거가 있는가?
이와 같은 점검 사항을 통해 사전 리스크를 줄일 수 있으며, 필요시 변호사와의 법률상담을 통해 안전한 광고 방향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최근 제재 사례 요약
구분 | 위반 내용 | 제재 조치 |
A 업체 | “○○질병 개선에 효과” | 제품 회수 + 영업정지 15일 |
B 유튜버 | 광고 사실 미표기 | 벌금 300만원 |
C 인플루언서 | 의사 사진 도용 + 건강 암시 | 영상 삭제 + 형사고발 |
이처럼 광고 형식이 다르더라도 위반 표현이 문제라면 동일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식품을 다루는 사업자, 마케팅팀, 콘텐츠 제작자 등은 광고 제작 단계에서부터 법률 리스크를 고려해야 하며, 특히 반복 광고를 진행하는 경우 정기적인 법률 자문이 필요합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온라인 채널 확대에 따라 식품광고법 적용 범위도 넓어지고 있으므로, 단 한 문장이라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중요합니다.
식품광고법은 단순한 가이드라인이 아닌, 소비자 보호와 공정경쟁을 위한 법적 장치입니다. 최근 사례에서 보듯, 고의가 없어도 위법이 될 수 있으며, 단순 표현 하나에도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광고 전 법률상담을 통해 문구의 적정성 여부를 검토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특히 자영업자나 인플루언서처럼 개인사업자라면 더욱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신 글
May 9, 2025
May 9, 2025
May 8,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