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vation | 변호사의 법률정보 Q&A

logo

Technovation | 변호사가 설명하는 법률정보

변호사가 직접 알려주는 진짜 법률 상식! 복잡한 법, 일상에서 쉽게 풀어드립니다.

게시판 보기

May 7, 2025

식품 광고하다 형사처벌? 식품광고법 위반 기준과 실무 팁 총정리

최근 유명 외식업계 인사의 식품 광고 문구가 '식품광고법 위반' 논란에 휩싸이면서 광고 문구 하나에도 법적 책임이 따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당 사건을 계기로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이하 식품광고법)의 주요 내용과 위반 시 처벌, 실무상 주의사항 등을 정리해드립니다.

1. 식품광고법이란? 소비자 보호와 공정경쟁의 핵심 법률

🔶 식품광고 규제의 목적

식품광고법은 식품, 건강기능식품, 축산물, 농수산물 등의 광고가 허위·과장 표현으로 인해 소비자를 현혹하거나 경쟁을 왜곡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법률입니다. 주요 규제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질병 예방·치료 표현

🔸 의약품으로 오인될 수 있는 문구

🔸 검증되지 않은 효능·효과

🔸 객관적 근거 없는 소비자 후기·비교 광고 등

🔶 법 적용 대상

이 법은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 운영자, 유통업체, SNS 인플루언서, 유튜버까지 포함됩니다. 즉, 누구든 식품을 소개하거나 홍보하는 경우에는 식품광고법의 적용 대상이 됩니다.

2. 식품광고법 위반 시 처벌 수위

위반 유형별 처벌 정리

2.1. 행정처분

🔸 광고 중단 명령

🔸 제품 회수 또는 판매 금지

🔸 영업정지 처분

2.2. 과태료

🔸 최대 5,000만원 이하

🔸 반복 위반 시 누적 부과 가능

2.3. 형사처벌

🔸 2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

🔸 고의적·조직적 위반 시 실형 가능

서초변호사 등 실무 전문가들에 따르면, 특히 SNS나 유튜브를 통해 무심코 한 표현도 문제 소지가 클 수 있어 법률상담을 통해 사전 검토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3. 주요 법 조항 요약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주요 조항


🔸 제8조(허위·과대광고의 금지): 질병 예방·치료 표현 금지

🔸 제10조(표시·광고의 기준): 소비자 오인 방지 원칙

🔸 제14조(사전심의제도): 건강기능식품 광고는 심의 필요

🔸 제17조(벌칙): 법 위반 시 형사처벌 가능 규정 포함

식품광고법위반, 서초변호사

4. 식품광고와 관련된 실제 궁금증

🚫 건강기능식품 허위광고
‘피로 회복’, ‘면역력 증가’ 등 표현은 식약처의 사전 심의를 받은 건강기능식품에만 허용됩니다. 일반 식품에는 해당 표현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 인플루언서·유튜버의 책임
단순 후기라도 뉘앙스에 따라 광고로 판단될 수 있으며, 표기 의무 위반 시 벌금형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비교광고·후기 조작
"타사보다 우수", "1위 제품" 등의 표현은 객관적 자료 없이 사용하면 법 위반이 됩니다. 특히 허위 리뷰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5. 실무에서 주의할 광고 문구 예시

실제 제재 사례 기반 금지 문구


✔️ “○○병에 효과 있음”

✔️ “의사가 개발한 제품”

✔️ “다이어트에 무조건 성공”

✔️ “한 달이면 암도 낫는다”

✔️ “먹기만 하면 ○○ 개선”

이러한 표현은 대부분 소비자에게 의학적 기대감을 조장하거나 오인을 유발하기 때문에 식품광고법 위반으로 행정처분이나 형사처벌로 이어진 사례가 다수 있습니다.

6. 광고 전 체크리스트 – 이것만은 꼭!

광고 제작 전 자가 점검 리스트


✅ 문구에 질병 예방·치료 의미가 있는가?

✅ 의사, 전문가 추천이 사실인가?

✅ 광고 대상이 일반 식품인지 건강기능식품인지 구분했는가?

✅ 협찬, 광고 여부를 명확히 표기했는가?

✅ 타 제품과 비교 시 객관적 근거가 있는가?

이와 같은 점검 사항을 통해 사전 리스크를 줄일 수 있으며, 필요시 변호사와의 법률상담을 통해 안전한 광고 방향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7. 실제 사례: 식약처의 행정처분 사례 요약

최근 제재 사례 요약

구분

위반 내용

제재 조치

A 업체

“○○질병 개선에 효과”

제품 회수 + 영업정지 15일

B 유튜버

광고 사실 미표기

벌금 300만원

C 인플루언서

의사 사진 도용 + 건강 암시

영상 삭제 + 형사고발

이처럼 광고 형식이 다르더라도 위반 표현이 문제라면 동일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8. 광고 실무자와 사업자를 위한 조언

식품을 다루는 사업자, 마케팅팀, 콘텐츠 제작자 등은 광고 제작 단계에서부터 법률 리스크를 고려해야 하며, 특히 반복 광고를 진행하는 경우 정기적인 법률 자문이 필요합니다.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온라인 채널 확대에 따라 식품광고법 적용 범위도 넓어지고 있으므로, 단 한 문장이라도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중요합니다.

9. 마무리하며

식품광고법은 단순한 가이드라인이 아닌, 소비자 보호와 공정경쟁을 위한 법적 장치입니다. 최근 사례에서 보듯, 고의가 없어도 위법이 될 수 있으며, 단순 표현 하나에도 책임이 따를 수 있습니다.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피하기 위해서는, 광고 전 법률상담을 통해 문구의 적정성 여부를 검토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특히 자영업자나 인플루언서처럼 개인사업자라면 더욱 조심할 필요가 있습니다.